인프라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소프트웨어 개발 협업과 구조 설계 : 해커톤을 통한 경험 최근 대학교 3학년에 진학하게 되며 점점 팀 프로젝트에 대한 요구와 이런 과정들을 경험해나가며 느꼈던 소프트웨어 개발 협업과 구조 설계에 대한 고민과 해결하기 위한 노력에 대해 해커톤 대회에서 느꼈던 점들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한다.소프트웨어 개발의 협업과 구조 설계의 어려움팀 프로젝트와 외주 작업에서의 고민최근 대학교 과목에서 수행하는 팀 프로젝트와 외주 작업을 통해 협업의 중요성을 절감하게 되었다. 특히 규모가 있는 프로젝트에서 구조 설계는 더욱 어렵게 느껴졌고,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을 명확히 파악하고, 프로젝트의 리스크를 관리하며, 협업을 원할하게 진행하는 방법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게 되었다.소규모 프로젝트에서의 문제소규모 프로젝트에서는 오히려 혼자 개발하는 것이 더 편할 정도로 협업과 의사소통이 .. 소셜 네트워크 앱 개발 프로젝트 아키텍처 고민 및 해결 과정 업체(이하 클라이언트)를 통해 특정 컨셉을 지닌 소셜 네트워크 및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외주를 진행하게 되었다. 이후 최종적으로 계획하고 있는 프로젝트의 규모가 작지 않기도했고, 일정이 타이트하게 구성되는 등의 문제로 나와 지인 한 분이 백엔드 및 인프라 구축을 맡게되었고, 지인을 통해 소개받은 플러터 개발자 분께서 앱개발을 맡아 진행하기로 하였다. 정확한 컨셉을 공개할 순 없지만, 몇몇의 주요한 기능들을 중심으로 어떻게 아키텍처를 설계했는지 이야기해보도록 하겠다. 사진, 동영상의 멀티미디어를 통한 실시간 채팅 (메신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특정 사진, 동영상(멀티미디어)의 AI분석 (추후 개발) TTS 관련 서비스 (개인 사용자 목소리 기반) SNS 간편 로그인(OAuth 2.0) 알림 기능 모놀리식.. 이전 1 다음